점점점 유니버스: 예인물류센터

installation view_floationg island
installation detail
어두운 풍경화#1-8_acrylic on canvas_39.7×45.5cm each_2021
전시 포스터

점점점 유니버스: 예인물류센터

장소: 예인인력소

문화예술특화거리 점점점 산하공간 예인인력소에서 진행한 프로그램으로 2021년 진행한 프로젝트를 정리 결과를 보고하였다.

related work: floating island, 어두운 풍경화 / landscapes in the dark

작성일자 카테고리 project

협동작전

1) 2020년 예술로 기획사업이 종료된 이후에도 예술인들과 기관, 잠상은 지속적으로 함께 진행하고 싶은 프로젝트에 대해 의견을 공유하며 교류를 이어왔다. 특히 2년 동안 사업을 함께한 팀워크를 바탕으로, 혼자서는 진행하기 어려움이 있던 작업들을 협업으로 실현시킨 경험들을 떠올리며 본 사업은 물론 현재 협업이 이루어지는 형태에 대해 자발적인 관심과 필요성을 느꼈다.

2) 2021년의 기획은 앞서 언급한 내용과 같이 잠상 멤버의 예술가로서의 개별적 독립과 성장, 그 과정에서 필요한 요소들을 시스템적, 사례적 경험이 보다 많은 참여예술인과의 협업으로 채워나가는 것이다. 또한 참여예술인들은 일방적인 멘토 역할이 아닌 각자의 창작활동을 기획하고, 다른 예술인들(잠상 포함)의 개별기획에도 자유롭게 참여하며 본인의 창작을 지속함과 동시에 여러 장르의 교류로부터 파생되는 다양한 관점과 결과물들을 만들어낼 수 있다.

3) 각자의 프로젝트를 기획한 후 공유하고 자신이 참여하고 싶은 프로젝트를 선택하여 협업하거나 기술적, 내용적 부분에서 도움이 될 수 있는 협업관계를 만들어가며 본 사업에 참여하는 예술가(잠상+참여예술인)들의 개별 창작물로 완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참여예술인들의 예술 활동을 심화시키고, 잠상의 예술가로서의 독립을 실현한다.

포스터

“위 내용은 한국예술인복지재단에서 주최하는 <2021 예술인 파견지원 사업-예술로> 사업의 일환으로 시행되었습니다.”

related work: 그림활판

flaoting island / 부유하는 섬

floating island 프로젝트 진행 이미지_인천아트 플랫폼 거리
정미타 <미묘한 이동: 플로팅아일랜드_김현호> single channel video _5m 27s_2021

“floating island / 부유하는 섬”은 코로나19에 대항하는 예술적 방식의 게릴라 1인 시위이다. 고립 아닌 고립을 하고 있는 현 시점에 그림으로 나눌 수 있는 무언가를 생각하다가 섬의 이미지가 떠올랐고 6개의 각기 다른 섬을 아크릴 물감으로 그렸다. 이를 가지고 인천 중구 일대에 5개소에서 천막을 치고 마티에르가 있는 섬 그림을 행인들에게 순지와 먹으로 탁본을 찍어주고 세상에 전하고 싶은 단어를 수집하였다.

탁본 시연 영상
탁본

related exhibition: 점점점 유니버스

S, 25; 잆어요 / no(w)here

접경(接鏡)_미디어 파사드_영동2교 하부

서울 25부작 서초구 양재천 영동2교 하부

기획: 박진희(Pirate)

2021. 05. 10. ~ 2024. 04. 30.

QR code online exhibition
AR still

http://www.nowhereseoul.com/artists-detail/9

서울 25부작 서초구 프로젝트 ‘아티스트이십오’ 작가로 선정, 영동2교 하부 구조물에 미디어 파사드 작업과 AR 기술을 활용한 가상 전시에 참여하였다.

잆어요는 ‘있지만 없는, 없지만 있는’ 이라는 의미에 초점을 맞춘다. 프로젝트 대상지로 선정된 영동2교 하부는 자연으로 둘러싸여 있지만 인위적으로 재현된 자연의 영상을 바라보도록 구성하고 물리적 작품이 없는 전시장 좌대를 설치하여 관람을 유도한다. 공간에 들어온 관람객은 프로젝트의 일부가 되고 제3의 관람객은 실물이 존재하지 않는 관람하는 행동에 의문을 갖게 한다.

– 잆어요 홈페이지 발췌

Credit

대표 / 기획 및 총괄: 박진희
프로젝트 감독: 김주호
현장 조감독: 권지영
전시 큐레이터: 김지현
보조 큐레이터: 송소연
그래픽 디자인: 한송이, 박지현, 최빛나
아카이브: 장보람
촬영감독: 권도한
에디터: 이경진, 김한나
행정지원: 안슬기

협력
동방싸롱
(주)에이플랜컴퍼니
갤럭시소프트

전시 기획 / 진행 : 김지현, 송소연

참여 작가: 강정인, 고영찬, 권도한, 권혁주, 김문정, 김아라, 김이주, 김주호, 김현호, 박진희, 서수인, 신용재, 오윤, 윤희수, 이가영, 이건희, 이지훈, 이창근, 정철규, 조민선, 최빛나, 최주열, 한송이, 한요한, 황원해

exhibited work: 접경(接鏡), 금강전도

촉각현상술

“촉각현상술”은 2020년 예술인파견사업을 통해 만난 시각장애인 사진팀 “잠상”의 10년간의 작업을 아카이빙하면서 마음에 와닿는 사진들을 선택, 회화로 옮긴 작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