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돌에도, 그림에도, 많은 시간이 흐른다.」

콘노 유키
미술비평가

많은 시간이 돌에 흐른다. 강가에 굴러다니는 돌을 보고 우리는 그 돌이 어디서 어떻게 왔는지 상상해 보기도 한다. 모양새를 보거나 성분을 과학적으로 분석하는 방법을 통해서 우리는 돌이 간직하는 시간의 흐름을 알아보기도 한다. 날씨나 지각 변동과 같은 자연 현상을 기록하는 한편, 돌은 인간의 시간을 기록하기도 한다. 고인돌은 자연물인 돌을 인간이 세우고 모신 것이다. 커다란 돌이 어떻게 운반되고, 당시 어떤 용도로 사용되었는지, 수수께끼로 가득 차 있다. 꾸밈없는 생김새만 보고 자연과 일체가 된, 존재감이 덜한 존재라 생각할 수도 있다. 그런데 크고 움직이지 않은 모습은 인간에 없는 견고한 성질을 가진다. 미르체아 엘리아데가 말하듯이 인간이 만지거나 잡아보기도 전에 돌은 그들을 친다=그들에게 타격을 준다[1]. 그 타격을 받았기에, 이 돌을 가지고 와서 모신 사람들이 있었고 지금도 보러 가는 사람이 있다고 해도 무방하다. 그것은 알 수 없는 힘을 가진 덩어리이며, 그 알 수 없음은 사람들에게 특별한 힘인 동시에 자신이 받아들이고 내가 가질 수 있는 힘으로 여겨졌다. 그렇게 생각했을 때, 고인돌은 자연물의 형태를 가지면서 인간의 시간을 기록한다고 할 수 있다.

김현호 또한 타격을 돌에게서 받고 그림으로 옮겨 그렸을 것이다. 이번에 예술공간 의식주에서 열린 개인전 《스스로 말하는 돌 (혹은 그림)》에서 작가의 관심사는 고인돌을 그린 모습에 직접적으로 나타나 있다. 작가는 현장 답사를 떠나 고인돌을 실제로 보고, 이번 전시에서 그 고인돌을 주로 회화 작업으로 그려 보여준다. 전시장에는 고인돌을 그린 회화, 고인돌의 표면을 확대해서 그린 회화, 고인돌에 비친 그림자를 그린 회화, 고인돌을 그리는 과정을 보여주는 영상, 고인돌의 표면을 따라 손으로 글자를 쓰듯 그린 것을 출력한 천 작업이 있다. 그런데 고인돌의 배경 정보가 잘 드러나지 않는 점에서 어떤 사람은 의아해할 것이다. 이 돌이 어디에 있고 어떤 역사를 거쳐 왔는지, 작품 캡션에도 나오지 않은 것을 보면 그런 생각이 들 수 있다. 그런데 작가의 지향점, 더 정확히 말하자면 예술 작품 활동을 하는 작가의 지향점은 고인돌의 소재지를 표시하거나 성분을 밝히는 것이 아니라 고인돌이 담긴 시간의 흐름을 작품으로 담아내는 데 있다. 여기서 화가 김현호가 돌을 이해하는 방식은 고인돌의 궤적을 따라 그리고 따라 그려 나가는 것이다. 한때 고대인이 돌을 발견하고, 그것을 옮겨 와서 모신 것처럼 작가는 <스스로 말하는 돌>(2023) 시리즈에 자신이 본 돌을 가져온다. 전국 각지를 다녀온 작가의 시선에 충격과 매혹을 동시에 가져다준 돌이 여기—전시장에, 회화 공간에 도착했다.

전체상이 들어간 <스스로 말하는 돌>이 있는가 하면, 전시장에 함께 걸린 <그때의 별>(2023) 시리즈는 고인돌의 표면을 일부 확대해서 그린 것이다. 이 세부 묘사는 인간의 시선을 지상과 땅의 두 방향으로 연결하는 이음매가 된다. 멀리서 봤을 때 밤하늘을 연상케 하는 표면은 가까이 다가가서 보면 질감이 눈에 잘 들어온다. 마치 입체적으로 그려진 능선과도 같이, 작품 표면은 지도 즉 우리가 사는 세계로 (다시) 보이기 시작한다. 고인돌의 힘이 인간을 초월한 곳에 있다고 여겨진 것처럼, 김현호의 이 그림은 인간을 초월한 공간인 우주와 지상을 향한다. <그때의 별>이 보여주는 것은 고인돌의 세부에서 출발한, 지상에서 올려다본 우주의 모습과 하늘에서 내려다본 지상의 모습이다. 하늘과 땅은 김현호의 이 그림에서 작가가 그림으로 남긴, 더 정확하게 말하면 그림으로/에 담은 선으로 연결되어 있다. 그뿐만 아니라 이 연결은 곧 우리 인간과 인간을 초월한 존재의 연결이기도 하다. 그런 측면에서 본다면, 작가의 작품에서 기운생동(氣韻生動)이라는 표현이 적합하다고 한다면, 그것은 그려진 대상 자체에 감지되는 것이 아니라 인간과 인간을 초월한 존재, 우리가 있는 곳과 우리가 없는 곳 사이에서 함께 전율을 만든다는 의미에서 이해해야 한다.

김현호의 그림은 지금 우리가 사는 지상을 그린 지도와 우리가 살지 않지만 영향을 받고 어떨 땐 우러러보는 하늘의 양쪽으로 확장함과 동시에 이어 준다. 이는 작가가 돌에게서 받은 충격을 그림으로 받아들이고 그 힘을 다시 발산하여 보여 주는 일이라 할 수 있다. 돌에게 감지한, 인간을 초월한 힘은 우주와 지상으로 우리를 이끈다. 말하자면, 인간의 시선을 끌었던 돌은 이들의 시선을 그들보다 광대한 영역으로 이끈다. 그것은—그림으로 담아낸 작가와 작품을 보는 사람이 그렇듯이—그때나 지금이나 마찬가지다. 많은 시간이 흘렀지만, 돌에는 여전히 많은 시간이 흐른다. 돌에 새겨진 시간이란 실질적인 동시에 비유적인 표현이다. 고인돌은 옮겨진 전후의 시간뿐만 아니라 이에 영적인 힘을 본 인간의 시선까지 담는다. 말은 ‘고인’ 돌이라고는 하지만, 여기에는 돌과 사람의 시선에서 본 많은 시간이 흐르고 또 머문다. 이번 개인전에서 소개된 두 영상 작품 <수신>(2023)과 <들어간 별, 나온 별>(2023)은 작품의 제작 과정을 보여주지만, 그것은 평면 작업의 내막을 밝히는 것이 아니다. 고인돌의 소재지나 성분을 드러내지 않는 것처럼, 작가에게 중요한 점은 돌에 흐르고 머무는 시간을 따라가는 과정이다. 영상 작품에 강조되는 것처럼, 작가가 예술가로서 보여주는 태도는 지정학적이거나 과학 연구적인 접근이 아니라 선을 그리고 시간을 담는 일이라 할 수 있다. 이 시간은 특정 시점(時點) 대신 많은 시간들이 이어지고 겹친 결과, 그림으로/에 나타난다.


[1] ミルチャ・エリアーデ, 久米博, 『エリアーデ著作集第二巻 豊饒と再生 宗教学概論2』, 株式会社せりか書房, 1974, p. 101

관련전시: 《스스로 말하는 돌 (혹은 그림)》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