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돌에도, 그림에도, 많은 시간이 흐른다.」

콘노 유키
미술비평가

많은 시간이 돌에 흐른다. 강가에 굴러다니는 돌을 보고 우리는 그 돌이 어디서 어떻게 왔는지 상상해 보기도 한다. 모양새를 보거나 성분을 과학적으로 분석하는 방법을 통해서 우리는 돌이 간직하는 시간의 흐름을 알아보기도 한다. 날씨나 지각 변동과 같은 자연 현상을 기록하는 한편, 돌은 인간의 시간을 기록하기도 한다. 고인돌은 자연물인 돌을 인간이 세우고 모신 것이다. 커다란 돌이 어떻게 운반되고, 당시 어떤 용도로 사용되었는지, 수수께끼로 가득 차 있다. 꾸밈없는 생김새만 보고 자연과 일체가 된, 존재감이 덜한 존재라 생각할 수도 있다. 그런데 크고 움직이지 않은 모습은 인간에 없는 견고한 성질을 가진다. 미르체아 엘리아데가 말하듯이 인간이 만지거나 잡아보기도 전에 돌은 그들을 친다=그들에게 타격을 준다[1]. 그 타격을 받았기에, 이 돌을 가지고 와서 모신 사람들이 있었고 지금도 보러 가는 사람이 있다고 해도 무방하다. 그것은 알 수 없는 힘을 가진 덩어리이며, 그 알 수 없음은 사람들에게 특별한 힘인 동시에 자신이 받아들이고 내가 가질 수 있는 힘으로 여겨졌다. 그렇게 생각했을 때, 고인돌은 자연물의 형태를 가지면서 인간의 시간을 기록한다고 할 수 있다.

김현호 또한 타격을 돌에게서 받고 그림으로 옮겨 그렸을 것이다. 이번에 예술공간 의식주에서 열린 개인전 《스스로 말하는 돌 (혹은 그림)》에서 작가의 관심사는 고인돌을 그린 모습에 직접적으로 나타나 있다. 작가는 현장 답사를 떠나 고인돌을 실제로 보고, 이번 전시에서 그 고인돌을 주로 회화 작업으로 그려 보여준다. 전시장에는 고인돌을 그린 회화, 고인돌의 표면을 확대해서 그린 회화, 고인돌에 비친 그림자를 그린 회화, 고인돌을 그리는 과정을 보여주는 영상, 고인돌의 표면을 따라 손으로 글자를 쓰듯 그린 것을 출력한 천 작업이 있다. 그런데 고인돌의 배경 정보가 잘 드러나지 않는 점에서 어떤 사람은 의아해할 것이다. 이 돌이 어디에 있고 어떤 역사를 거쳐 왔는지, 작품 캡션에도 나오지 않은 것을 보면 그런 생각이 들 수 있다. 그런데 작가의 지향점, 더 정확히 말하자면 예술 작품 활동을 하는 작가의 지향점은 고인돌의 소재지를 표시하거나 성분을 밝히는 것이 아니라 고인돌이 담긴 시간의 흐름을 작품으로 담아내는 데 있다. 여기서 화가 김현호가 돌을 이해하는 방식은 고인돌의 궤적을 따라 그리고 따라 그려 나가는 것이다. 한때 고대인이 돌을 발견하고, 그것을 옮겨 와서 모신 것처럼 작가는 <스스로 말하는 돌>(2023) 시리즈에 자신이 본 돌을 가져온다. 전국 각지를 다녀온 작가의 시선에 충격과 매혹을 동시에 가져다준 돌이 여기—전시장에, 회화 공간에 도착했다.

전체상이 들어간 <스스로 말하는 돌>이 있는가 하면, 전시장에 함께 걸린 <그때의 별>(2023) 시리즈는 고인돌의 표면을 일부 확대해서 그린 것이다. 이 세부 묘사는 인간의 시선을 지상과 땅의 두 방향으로 연결하는 이음매가 된다. 멀리서 봤을 때 밤하늘을 연상케 하는 표면은 가까이 다가가서 보면 질감이 눈에 잘 들어온다. 마치 입체적으로 그려진 능선과도 같이, 작품 표면은 지도 즉 우리가 사는 세계로 (다시) 보이기 시작한다. 고인돌의 힘이 인간을 초월한 곳에 있다고 여겨진 것처럼, 김현호의 이 그림은 인간을 초월한 공간인 우주와 지상을 향한다. <그때의 별>이 보여주는 것은 고인돌의 세부에서 출발한, 지상에서 올려다본 우주의 모습과 하늘에서 내려다본 지상의 모습이다. 하늘과 땅은 김현호의 이 그림에서 작가가 그림으로 남긴, 더 정확하게 말하면 그림으로/에 담은 선으로 연결되어 있다. 그뿐만 아니라 이 연결은 곧 우리 인간과 인간을 초월한 존재의 연결이기도 하다. 그런 측면에서 본다면, 작가의 작품에서 기운생동(氣韻生動)이라는 표현이 적합하다고 한다면, 그것은 그려진 대상 자체에 감지되는 것이 아니라 인간과 인간을 초월한 존재, 우리가 있는 곳과 우리가 없는 곳 사이에서 함께 전율을 만든다는 의미에서 이해해야 한다.

김현호의 그림은 지금 우리가 사는 지상을 그린 지도와 우리가 살지 않지만 영향을 받고 어떨 땐 우러러보는 하늘의 양쪽으로 확장함과 동시에 이어 준다. 이는 작가가 돌에게서 받은 충격을 그림으로 받아들이고 그 힘을 다시 발산하여 보여 주는 일이라 할 수 있다. 돌에게 감지한, 인간을 초월한 힘은 우주와 지상으로 우리를 이끈다. 말하자면, 인간의 시선을 끌었던 돌은 이들의 시선을 그들보다 광대한 영역으로 이끈다. 그것은—그림으로 담아낸 작가와 작품을 보는 사람이 그렇듯이—그때나 지금이나 마찬가지다. 많은 시간이 흘렀지만, 돌에는 여전히 많은 시간이 흐른다. 돌에 새겨진 시간이란 실질적인 동시에 비유적인 표현이다. 고인돌은 옮겨진 전후의 시간뿐만 아니라 이에 영적인 힘을 본 인간의 시선까지 담는다. 말은 ‘고인’ 돌이라고는 하지만, 여기에는 돌과 사람의 시선에서 본 많은 시간이 흐르고 또 머문다. 이번 개인전에서 소개된 두 영상 작품 <수신>(2023)과 <들어간 별, 나온 별>(2023)은 작품의 제작 과정을 보여주지만, 그것은 평면 작업의 내막을 밝히는 것이 아니다. 고인돌의 소재지나 성분을 드러내지 않는 것처럼, 작가에게 중요한 점은 돌에 흐르고 머무는 시간을 따라가는 과정이다. 영상 작품에 강조되는 것처럼, 작가가 예술가로서 보여주는 태도는 지정학적이거나 과학 연구적인 접근이 아니라 선을 그리고 시간을 담는 일이라 할 수 있다. 이 시간은 특정 시점(時點) 대신 많은 시간들이 이어지고 겹친 결과, 그림으로/에 나타난다.


[1] ミルチャ・エリアーデ, 久米博, 『エリアーデ著作集第二巻 豊饒と再生 宗教学概論2』, 株式会社せりか書房, 1974, p. 101

관련전시: 《스스로 말하는 돌 (혹은 그림)》 (2023)

Time Passes by in the Stones and the Paintings

Yuki Konno
Art Critic

A lot of time passes by in stones. When we see a stone rolling by the river, we imagine where it came from and how. We induce the passage of time that the stone carries by observing its shape and scientifically analyzing its ingredients. Stones not only record natural phenomena such as weather and tectonic movements but humans. A dolmen is a stone that is a natural object that has been erected and enshrined by humans. It is full of mysteries like how the large stone was transported and what purpose it was used for at the time. Just by looking at its unadorned appearance, you might think that it is a being of lesser presence, or being one with nature. However, the large, motionless figure has a solid quality that does not exist in humans. As Mircea Eliade says, before humans even touch or hold the stone, it strikes[1]. It is safe to say that it is thanks to the strike that there were people who brought these stones and enshrined them and that we still visit them today. It is a lump of unknown power, and the unknownness was regarded as a special force that they could accept and have. When you think about it that way, dolmens record human history in the form of natural objects.

Hyunho Kim also probably sensed the strike and transferred them to paintings. In his solo exhibition 《Stones (or Paintings) That Speak for Themselves》 held at The Necessaries, the artist’s interests are directly applied in the paintings of dolmens. He went on a field trip and observed the dolmens in person, and he visualized it mainly through paintings. The show includes paintings of the artifacts, their magnified surface and a shadow reflected on them, a video showing the making process of the paintings, and a print that traces the surface of the dolmens which turned out to look like handwritten letters. However, some people may be puzzled by the fact that the background information of the rocks is not clearly made public. You may get this feeling as you realize that no information is given regarding where the stones are located and their history. However, the pursuit of an artist is not to specify their locations or identify their constituents but to capture the flow of time that the dolmens are containing. Here, the artist’s approach to the stones is to draw and trace the dolmen’s trajectory. Just as ancient people once discovered a stone, moved it and enshrined it, the artist brings the stones he witnessed into the series <Stones That Speak for Themselves>(2023). The stones that brought both shock and fascination to the eyes of the artist while traveling all over the country have reached the exhibition hall, the space that holds paintings.

While <Stones That Speak for Themselves> is an overall image of a dolmen, the series <Stars at the Time> (2023) is a painting that magnified a part of the stone. The details make a seam that bridges the human gaze in two directions: towards the ground and the world we live in. The surface is reminiscent of the night sky when viewed from a distance, but when you get closer, the texture stands out. Like a three-dimensionally drawn ridge, the surface of the work begins to appear (again) like a map of the world we live in. Just as the power of the dolmen is believed to lie in a place that transcends humans, the paintings are directed to space that transcends humans and the earth. <Stars at the Time> starts from the detail of a dolmen and presents the universe seen from the ground and the ground seen from above. Kim has left a line as a painting and in the painting and it connects the sky and the ground. The connected are humans and the transcendent beings. In this regard, if the expression ‘vibration of energy’ is appropriate to describe Kim’s work at all, the energy is not perceived in the painted object itself but in the presence of humans and transcendent beings, between where we are and where we are not, creating a thrill.

Kim’s paintings present a map of the world we live in and simultaneously connect and expand towards both sides of the sky where we do not live in but are influenced by and often look up to. It can be summarized as the artist’s capability to accept the strike from the stone through paintings and radiating the energy visually. The power that we sense from the stones that transcends humans leads us to space and the earth. In other words, the stone that attracts human attention leads our gaze to a vast area beyond them. Such is the same now as it was then, just like how artists capture the image and people see the work. A lot of time has passed and the same applies to the stones. The expression of time being engraved in stones is both practical and metaphorical. The dolmens not only hold the time before and after it was displaced but also the humans’ visions who discerned its spiritual power. Although literally we refer to the artifacts as ‘deceased’ stones in Korean, a lot of time passes and lingers here in the perspectives of the stones and people. The two video pieces introduced in this exhibition, <Reception> (2023) and <Star in, Star out> (2023), feature the making process of the work, but they are not about simply revealing the inner story of the process. Just as the location or composition of the dolmens is not of the utmost significance, what is important to the artist is the process of following the time that flows and stays in the stone. As emphasized in the video, Kim’s approach to the series is to draw lines and comprehend time, rather than making geopolitical, scientific approaches. Layers of time, not a specific point in time lie as and in the paintings.


[1] Mircea Eliade, Patterns in Comparative Religion, trans. Rosemary Sheed, Sheed & Ward, Inc., 1958, p.216

related exhibition: The Stone that Brushes the Sun…

스스로 말하는 돌 (혹은 그림) | The Stone that Brushes the Sun …



《스스로 말하는 돌 (혹은 그림)》

장소: 예술공간 의식주
(@the_necessaries)
주소: 서울시 서대문구 홍연길 80)
일시: 2023년 12월 9일 – 30일
운영시간: 13:30 – 18:30 (월, 화 휴무)

주최: 김현호 (@hhkimstudio)
주관: 김현호, 예술공간 의식주
후원: 한국문화예술위원회(@arkokorea)

사진: 조준용|영상: 최윤석|디자인: CMYK|서문: 박소호|평문: 콘노 유키
installation view
Artist Talk Video
<답사 전경> 사진: 박소호
# 만질 수 있는 시간

한반도에는 약 4만 기의 고인돌 유적이 있다고 한다. 오랜 시간 우리가 살아온 땅, 아주 가까운 거리에 과거로부터 전해온 시각 언어가 담긴 유물들이 자리하고 있는 것이다. 역사 교과서 초반에 자주 등장하는 기념비인 고인돌은 누군가를 애도하는 무덤으로 기능하는 것을 넘어 과거의 풍토와 생활상을 엿볼 수 있는 하나의 전언으로 작동된다. 올해부터 작가 현호는 이 무수히 많은 과거의 잔상을 소환하는 작업을 진행했다. 전국에 있는 고인돌 유적의 위치와 형태를 사전조사한 후 답사여행을 떠났다. 여러 장소에서 수집된 고인돌의 형태와 표면은 전시공간에서 작가의 손을 거쳐 새로운 오브제로 기능하게 되었다. 전시공간에는 다양한 형태의 고인돌이 놓여있다. 그들은 안개보다 짙고, 밤보다 푸른 현(玄) 색에 덮여있다. 이 현이라고 하는 어둠, 검푸른 색은 관객에게 시각언어의 촉각화와 청각화를 체험하게 한다. 일순간 마주치고 스치는 기호언어와 다르게 일정한 시간을 두고 바라보아야 경험할 수 있는 질감과 울림은 시간을 만질 수 있게 하고 장면을 들을 수 있게 한다.

# 스스로 말하는

작가 현호는 무언가를 소환할 수 있는 방법과 소환될 수 있는 대상에 주목해 왔다. 그리고 이번 작업에서는 빛이 현저하게 줄어든 어둠의 시공간에 몰입하면서 우리에게서 멀어진 원시적 감각을 소환하게 한다. 이 공간은 우리의 시각 정보를 받아들이는 시간에 약간의 틈과 차이를 만들어낸다. 칠흑 같은 어둠도 결국 적응의 시간이 지난 후에 서서히 그 윤곽이 드러나는 것처럼 작가에게 있어 검은색의 평면과 도포는 관객에게 던지는 시차의 터널이다. 관객은 전시공간에서 이 낯선 어둠과 마주해야 한다. 우리 등 뒤에 자리하고 있는 두려움과 닮은 이 검은 평면은 점차 멀어지고 있는 손과 손의 맞닿음, 입과 귀의 밀착을 다시금 연결하게 한다. 없어지고 삭제되는 무의 공간이 아니라, 우리 자신이 새겨놓은 서사의 유전자가 자리하고 만들어지는 무한한 공간으로 전환하게 한다. 작가는 스스로 말하는 돌 자체를 발견하는 과정보다 잃어버린 감각과 봉인된 이야기가 담긴 무한한 공간을 복원하고 확장하는 일에 더욱 밀도를 가하고 있다. 가시광선에 보이는 이미지로는 담기지 않는 시각과 촉각, 시각과 청각이 교차하는 지점을 찾아내어 너와 내가 닿을 수 있는 최적의 문장을 만들어내고 있다.

# 소환사

작가는 이번 전시의 소재로 고인돌이라는 일종의 유적을 선택했다. 오브제가 유적이 되기 위해서는 3가지 요소가 필요하다. 과거에서 흘러온 시간, 그리고 특정한 장소, 마지막으로 기록할 수 있는 가치, 이야기를 담고 있어야 한다. 그 유적 중에서 고인돌은 가장 오래된 장소와 시간을 가지고 있다. 심지어 자연물의 원형을 유지하고 있기에 셀 수 없이 오래된 어제의 이야기와 환경까지 자연스레 품고 있어 보존가치가 있는 유적이 될 수 있었다. 작가 현호는 이 고인돌이 지닌 언어에 주목한다. 베일에 싸인 머나먼 과거의 이야기를 넘어 지금의 우리가 존재하지 않았던 시간과 시간이 모여 만든 서사의 껍질과 하나의 낱말로부터 비롯된 단단한 두께의 문장을 떠낸다. 이것은 일종의 ‘탁본 뜨기’라고도 볼 수 있다. 다만 기록을 위한 탁본의 일반적인 의미와 역할이 아니라, 수만 광년 떨어진 별빛을 발굴하는 일과같이 시간을 거슬러 올라 발견할 수 있는 우리 본연의 감각을 떠내는 의미에서의 탁본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기라는 재현 방식에 대한 고민, 그리고 그 결과의 표면을 통해 닿을 수 없는 시간의 밀도에 질문해 온 작가 김현호는 이번 프로젝트를 통해 멈추고 응시하는 새로운 눈을 우리에게 제안한다. 마침내 우리는 이 눈을 통해 서술과 묘사가 잠식하고 있는 이 문명에서 은유와 감탄을 생산하는 해방의 유적과 만날 수 있게 된다.

  • 박소호 예술공간 의식주 디렉터

Click!
Work Images
Critic Text : 한국어 / Engish

Preface

Hyunho Kim’s Solo Exhibition
: The Stone that Brushes the Sun …

Soho Park
Director of The Necessaries

# Time That is Tangible
It is said that there are about 40,000 dolmen ruins on the Korean Peninsula. There are artifacts that hold visual language in close proximity in the land where we have lived for a long time. We often read about the dolmens, or monuments, at the beginning of history textbooks, and they go beyond functioning as graves to mourn and function as a message that gives us a glimpse into the culture and life of the past. Hyunho Kim started summoning myriads of remnants this year. After preliminary research on the locations and forms of dolmens across the country, he set out on an exploratory trip to the sites. The forms and surfaces collected are transformed by the artist into new objects and dolmens of various shapes are on display at the exhibition space. They are covered in darkness that is darker than fog and bluer than night. The darkness invites viewers to experience visual language that has become touchable and audible. Unlike symbolic language that is instant, the textures and sounds that can only be sensed after looking into them for a while enable us to feel the time and hear the scene.

# Self-Speaking
Kim has been focusing on what can be summoned and how. His new works are in a darkened space and time, and they create a field for viewers to summon primitive senses that are distanced. This space creates gaps and differences in the time when we take in visual information. Just as pitch black eventually reveals its contours as our eyes adapt to it, the artist’s black planes and applications of darkness are tunnels of parallax that he suggests to the viewer. The viewer must face this unfamiliar darkness. This black plane, which resembles the fear that lurks behind our back, reconnects our hands and mouth and ears. It is an infinite space in which the genes of our own narratives are embedded and created, not a space of nothingness where things disappear and get deleted. The artist is more engaged with restoring and further expanding infinity that carries lost senses and sealed stories than with the process of discovering the stones itself. By locating where sight and touch or sight and sound intersect, the artist creates the optimal sentence that you and I can reach.

#Summoner
Kim chose dolmens, an artifact, as a subject matter for this solo show. For an object to become a relic, three requirements should be met. It has to be a piece from the past, a specific place, and it has to hold a value or a story to be recorded. Of all the relics, dolmens come from the most ancient place and time. Since they are still in their original, natural form, they innately bequeath the environment and innumerable stories, which makes them a relic worthy of preservation. Meanwhile, the artist pays attention to the language of these dolmens. He goes beyond the stories of the distant past and reflects the time when we of today did not exist, the shell of narratives that are formed by time and sentences of solid thickness that originated from a single word. This can be regarded as rubbing or making a copy. However, it is not a tablet in the usual sense where it is used to record things. Rather, it is a tablet in the sense that, like when we excavate starlight from thousands of light years away, we discover our original sense by tracing back in time. While Kim’s past works researched the approaches of representation and questioned the density of time that is not reachable by the given surface, his new works suggest that we pause and gaze. This way, in this day when narration and description is predominant, we can experience metaphors and admiration through the relics of liberation.

제7회 광주화루 | 10인의 작가展

7회 광주화루 10인의 작가展

▫️일 시: 2023. 11. 21. 화 – 2023. 2. 7. 수
(평일 10시~5시/ 주말 공휴일 휴무)
▫️장 소: 광주은행 아트홀 | 광주은행 본점 1층
(광주광역시 동구 제봉로 225)
전시 전경
곡신불사(谷神不死), 2023, 캔버스에 아크릴, 162.2×130.3cm
현빈지문(玄牝之門), 2023, 단채널 영상, 8분 무한루프

제우스와 박수무당 | Zeus & Baksumudang

<제우스와 박수무당 Zeus & Baksumudang>

2023 아트경기 팀서화 X 알베르 
네오 헤리티지  NEO HERITAGE 2023

▪︎참여작가: 구서이 김기대 김대운 김성우 김수정 김용호 김현호 나광호 리혁종 박소현 박제성 박일종 왕지원 이세준 임승균 정성진 최정은 최태훈 하승완 하지인 

▪︎일시: 2023년 10월 21일 – 11월 11일
▪︎장소: 금호 알베르 (서울특별시 성동구 금호로3길 14 금호알베르)

▪︎주최: 경기도, 경기문화재단
@artgg_official
▪︎주관/ 기획: 팀서화 (김성우 & 도연희)
@team.seohwa
▪︎후원: 금호 알베르
@alver_coffee

⟪逍遙遊(소요유) 展⟫|Wandering at ease

매년 유망한 작가를 발굴하고 육성하려는 목표를 가진 갤러리박영의 작가 공모 전시 ‘BAKYOUNG THE SHIFT'(이하 SHIFT)는 올해로 8기를 맞이했다. 갤러리박영은 2023년 첫 전시인 BAKYOUNG THE SHIFT 8기 1부 ⟪逍遙遊(소요유) 展⟫을 선보인다. 소요유란 장자의 책 첫 부분인 내편(內篇)의 첫 번째 나오는 편명인 만큼 장자 사상을 대표한다고 할 수 있다. 여기에서 소요(逍遙)는 이리저리 편안하게 왔다 갔다 한다는 뜻으로 한곳에 고정돼 얽매이지 않는다는 것이고, 유(遊) 역시 편안하게 이곳저곳을 노닌다는 뜻이다. 갤러리박영은 김현호, 노정연, 박영숙, 이해나, 임민성, 장은우, 전주희, 최윤지 8명의 작가와 함께 대면, 유희, 조응이라는 세 가지 키워드에 맞추어 어지러운 도시의 현실에서 벗어나 자연과 함께 정신적인 자유를 이야기할 수 있는 전시를 기획하였다. 코로나 시대의 종식을 앞두고 만물이 생동하는 5월의 파주, 그리고 갤러리박영의 새로운 전시를 소요하며 즐기는 시간이 되길 바란다.

김현호 작가는 회화 자체에 대한 메타적 접근과 한국화 재료의 개념적 확장이라는 주제를 가지고 자연에 대한 향수를 회화로 소환하는 작업을 진행한다. 작가는 이를 위해 흑백의 아크릴 물감에 헤비바디 미디움을 섞어 마티에르를 낸 뒤 카본블랙 물감을 도포하는 방식을 통해 기존의 동양화와는 다른 – 하지만 먹, 배접, 공기 원근법, 산수에서의 시간성 등 한국화의 개념이 확장, 변형된- 작업 방식을 구사한다. 이러한 화면은 형(形)과 신(神)의 경계가 모호한 상태 속에서 작가만의 독특한 미감을 전신(傳神)하고 있다. 관람자는 어두운 풍경화를 조우할 때 그림은 평면을 넘어서 신체를 가지고 존재하게 되며, 동시에 두려움을 일으킴과 동시에 태초의 시작, 그리고 생의 저편의 색인 검정의 내러티브를 통해 작가는 무지와 무력을 경험한 불확실한 시대에 숭고의 체험을 가능하게 한다.

Link: Gallery Bakyoung